아동발달 이론에 대한 쟁점
발달이론은 발달이 천성에 의한 것인지 양육에 의한 것인지, 인간이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는 것인지, 수동적으로 기여하는 것인지, 발달은 양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인지 아니면 질적으로 구별되는 일련의 발달단계를 거치는 비연속적인 과정인지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발달학자들은 인간발달을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설명하는 단일 이론은 없다는 것에 동의하며, 다양한 이론들 각각이 인간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상이하게 공헌하는 점이 있음을 강조한다.
1) 천성 대 양육
인간발달이 타고난 생물학적인 힘에 의한 결과인가 아니면 양육,즉 환경에 의한 결과인가에 대한 논란은 거듭되고 있다. 물론 발달의 상이한 측면에 따라 천성과 양육의 상대적 기여가 달라진다는 것이 최근 학자들의 일반적인 입장이다. 따라서 양육이냐 아니면 천성이냐의 논쟁보다는 이 두 가지의 영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발달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생산적일 것이다.
① 정신분석이론 - 천성과 양육 모두
생물학적인 힘이 심리성적 단계와 심리사회적 우기를 촉진한다. 부모의 양육행동의 실제가 이러한 단게들의 결과에 영향을 준다.
② 행동주의이론 -양육이 가장 중요
생물학적 영향보다는 환경적 입력이 발달과정을 결정하는 것이이다.
③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천성과 양육 모두
아동은 환경에 적응하려는 선천적 욕구를 가진다. 또한 욕구는 적응적 도전을 제공하는 자극적 환경에 의해 발달하기도 한다.
④ 동물행동학적이론- 천성
적절한 환경이 성공적인 적응에 필요하기는 하나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램된 적응행동이 보다 강조된다.
⑤ 생태학적체계이론-양육
개인의 속성들이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환경맥락의 영향을 보다 강조하는 입장이다.
2) 능동 대 수동
아동은 환경을 다루고 선택하며 결정하는 능동적인 존재인가 아니면 환경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영향받는 수동적인 존재인가라는 상반된 입장이 존재한다. 아동을 수동적인 존재로만 인정한다면 아동발달의 모든 책임을 주변환경, 특히 주 양육자의 책임으로 돌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동일한 부모 슬하에서도 또는 동일한 환경에서도 차별적인 발달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고, 아동 스스로의 능동적인 선택과 자질이 환경의 영향을 촉진 또는 동일한 환경에서도 차별적인 발달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고, 아동 스스로의 능동적인 선택과 자질이 환경의 영향을 촉진 또는 완충시킨다. 아동이 환경의 영향에 따라 상당부분 영향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도 능동적인 역할과 책임을 갖는다는 것이다.
① 정신분석이론- 능동적
아동은 선천적 본능에 의해 움직인다.
② 행동주의이론- 수동적
아동은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
③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능동적
아동은 자기, 타인 그리고 자기들이 적응하는 환경에 대해서 보다 정교한 이해를 능동적으로 구축한다.
④ 동물행동학적이론 -능동적
인간은 적응적 발달 결과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있고 행동한다.
⑤ 생태학적체계이론- 양자모두
인간은 자신의 적응적 발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맥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3) 연속성 대 비연속성
이는 인간의 발달이 점진적인가 아니면 급진적인가 나아가 발달의 변화가 양적인가 질적인가라는 두가지 측면의 질문을 내포하는 이슈이다. 연속성 이론가들은 일반적으로 발달적 변화가 양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에 비연속성 이론가들은 질적이며 급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발달단계를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각 단게를 거치면서 질적으로 현격하게 상이한 변화가 있게 됨을 주장한다. 한편, 연속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아동들이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점점 더 커지고, 빨라지며, 세상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게 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① 정신분석이론 - 비연속적
심리성적발달이나 심리사회적발달단계를 강조한다.
② 행동주의이론- 연속적
학습된 반응(습관)의 점진적인 부가를 강조한다.
③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비연속적
질적으로 구별되는 인지 단계의 불변적 순서를 강조한다.
④ 동물행동학적이론 - 양자모두
적응행동은 연속적으로 부가되나 일부의 적응능력은 발달의 민감기 동안에 급격히 나타난다.
⑤ 생태학적체계이론 - 양자모두
항상 변화하는 개인과 항상 변화하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은 양적인 발달변화를 가져온다. 그러나 비연속적인 개인적 사건 또는 환경이 갑작스러운 질적 변화를 만들 수 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정책의 개념과 범위 (0) | 2022.08.11 |
---|---|
사회성 발달 (0) | 2022.08.11 |
정서발달 (0) | 2022.08.05 |
아동발달 이론 (0) | 2022.08.05 |
가정위탁 서비스의 기본원리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