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물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위험물의 종류-제 1류 위험물의 종류/특징

by 김고다 2022. 7. 31.

제1류 위험물 종류

(1) 아염소산염류(지정수량 50kg) -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다른 원자단으로 치환된 형태의 염을 말하며, 고체물질이고, Ag, Pb,Hg염을 제외하고는 물에 잘 녹는다.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하며, 중금속염은 예민한 폭발성이 있어 기폭제로 사용된다.

 

1) 아염소산 나트륨

-자신은 불연성이고 무색의 결정성 분말, 조해성, 물에 잘 녹는다.

-불안정하여 180℃ 이상 가열하면 산소를 방출한다.

-아염소산나트륨은 강산화제로서 산화력이 매우 크고 단독으로 폭발을 일으킨다.

-금속분, 유황 등 환원성 물질과 접촉하면 즉시 폭발한다.

-티오황산나트륨, 디에틸에테르 등과 혼합하면 혼촉발화의 위험이 있다.

-이산화염소에 수산화나트륨과 환원제를 가하고 다시 수산화칼슘을 작용시켜 만든다

 

2) 아염소산칼륨

-분해온도 160℃ 이상

-아염소산 염류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다.

 

 

(2) 염소산염류(지정수량 50kg) - 염소산칼륨,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암모늄

염소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다른 다른 원자단으로 치환된 혀애의 염을 말하며 대부분 물에 녹으며 상온에서 안정하나 열에 의해 분해하게 되면 산소를 발생한다. 햇빛에 장시간 방치하였을 때는 분해하여 아염소산염이 생성된다. 염소산염을 가열, 충격 및 산을 첨가시키면 폭발위험성이 나타난다. 

 

1) 염소산칼륨

-무색, 무취단사정계 판상결정 또는 불연성 분말로서 이산화망간 등이 존재하면 분해가 촉진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산성물질로 온수, 글리세린에 잘 녹고, 냉수,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는다.

-촉매 없이 400℃ 부근에서 분해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폭발위험이 있다.

-목탄과 반응하면 발화,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혈액에 작용하며 독작용을 한다.

-강산이나 중금속류와의 혼합을 피한다.

-소화방법은 주수소화가 좋다.

 

2) 염소산나트륨

-물, 알코올에는 녹고, 산성수용액에서는 강한 산화작용을 보인다. 

-무색, 무취의 입방정계 주상결정으로 풍해성은 없다.

-알코올,에테르,물에 잘 녹고, 조해성과 흡습성이 있다.

-산과 반응하여 유독한 이산화염소를 발생하고 폭발위험이 있다.

-환기가 잘 되는 냉암소에 밀전 보관한다.

 

3) 염소산암모늄

부식성, 폭발성, 조해성의 중요한 특징이 있고 수용액은 산성이다. 물보다 무거운 무색의 결정이다.

 

 

(3) 과염소산염류(지정수량 50kg) -과염소산칼륨, 과염소산나트륨, 과염소산암모늄

과염소산이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다른 원자단으로 치환된 형태의 염을 말하며 대부분 물에 녹으며 유기용매에도 녹는 것이 많고, 무색 무취의 결정성 분말이다. 타 물질의 연소를 촉진시키고, 수용액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불용성의 염 이외에는 조해성이 없다.

 

1)과염소산칼륨

-무색, 무취 사방정계 결정 또는 백색 분말이다.

-물,알코올,에테르에 잘 녹지 않는다.

-400℃에서 분해하기 시작하여 610℃에서 완전 분해된다.

-황산과 반응하면 폭발성가스가 생성된다.

-가연물과의 혼합 시 가열, 마찰, 외부적 충격에 의해 폭발한다.

 

2)과염소산나트륨

-무색,무취 사방정계 결정

-분해온도 400℃, 융점 482℃, 용해도170(20℃), 비중 2.5

-물, 에틸알코올, 아세톤에 잘 녹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3)과염소산암모늄

-무색, 무취의 결정

-분해온도 130℃, 비중1.87

-물, 알코올, 아세톤에는 잘 녹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충격에는 비교적 안정하나 130℃에서 분해시작, 300℃에서는 급격히 분해 폭발한다.

 

 

(4) 무기과산화물(지정수량50kg)-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과산화칼륨, 알칼리금속 이외의 무기 과산화물

과산화수소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다른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하며 분자속에 -O-O-를 갖는 물질을 말한다. 그리고 물과 급격히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발열한다.

 

[1]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과산화 나트륨, 과산화칼륨

단독으로 타지 않고, Li, Na, K, Rb, CS등의 과산화물은 금수성 물질로 분말소화약제의 탄산수소 염류, 건조사, 암분, 소다 등으로 피복 소화한다. 알칼리금속과 알코올이 반응하면 알코올리드와 수소를 발생한다.

 

1) 과산화나트륨

-순수한 것은 백색이지만 보통 황색의 분말 또는 과립상이고, 흡습성, 조해성이 있다.

-유기물, 가연물, 황 등이 혼입을 막고, 가열, 충격을 피한다.

-공기 중에서 서서히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산염을 만들고 산소를 방출한다.

-상온에서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열을 발생하고 산소를 방출시킨다.

-묽은 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킨다.

-강산화제로서 금, 니켈을 제외한 다른 금속을 침식하여 산화물을 만든다.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는다.

 

2)과산화칼륨

-오랜지색 또는 무색의 분말로 흡습성이 있으며 에탄올에 녹는 것으로서 물과 급격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산소를 방출시키는 물질

-과산화칼륨과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시킨다.

-가열하면 위험하고 가연물의 혼입, 마찰, 충격, 특히 물과이 접촉은 매우 위험하다.

-용기는 밀전, 밀봉하여 순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갈색의 착색 유리병에 저장한다.

 

 

[2] 알칼리금속 이외의 무기 과산화물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Be, Mg, Ca, Sr, Ba 등의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이 대분분 차지하고 물과 접촉해도 큰 위험성이 없는 물질이 대부분이다.

 

1)과산화마그네슘

-산류에 녹아서 과산화수소로 된다.

-습기나 물에 의하여 활성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에 특히 방습에 주의한다.

-분해 촉진제와 접촉을 피하고, 유기물, 환원제와 섞이면 마찰, 가열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산화제와 혼합하여 가열하면 폭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산류와 격리한다.

-소화방법은 건조사에 의한 피복소화 또는 주수소화이다.

 

2)과산화칼슘

-백색 또는 담황색 분말이다

-물에는 잘 녹지않고 알코올,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염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킨다.

 

3)과산화바륨

-백색 또는 회색의 정방정계 분말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에서 가장 안정하다.

-물에도 약간 녹고, 알코올, 에테르, 아세톤에는 녹지 않는다.

  

 

 

(5) 브롬산염류(지정수량 300kg) - 브롬산칼륨, 브롬산나트륨, 브롬산아연, 브로산바륨, 브롬산마그네슘

브롬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로 대두분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이고 물에 다시 녹는 물질들이다.

 

1)브롬산 칼륨

-백색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

- 융점 438℃, 비중 3.27

-물에는 잘 녹고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는다

-염소산칼륨보다 안정하다.

 

2)브롬산나트륨

- 무색결정이며 물에 잘 녹는다. 

- 융점 381℃, 비중 3.3

 

3)브롬산아연

- 무색결정이며 물에 잘 녹는다.

- 융점 100℃, 비중 2.56

 

4)브롬산마그네슘

- 무색, 백색 결정이며 물에 잘 녹는다.

-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200℃에서는 무수물이 된다.

 

 

 

(6) 질산염류(지정수량 300kg)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질산은, 질산바륨 등

질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한다. (금속에 대한 부식성은 없다.) 대부분 무색, 백색의 결정 및 분말로 물에 잘 녹으며 조해성이 강하다. 화약,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1)질산나트륨

-무색, 무취의 투명한 결정 또는 백색분말

-조해성이 크고 흡습성이 강하므로 습도에 주의한다. 물과 글리세린에 잘 녹고, 무수 알코올에는 나용성이다.

-가열하면 약 380℃에서 열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가연물, 유기물, 차아황산나트륨과 함께 가열하면 위험하다.

-티오황산나트륨과 함께 가열하면 폭발한다.

 

2)질산칼륨

-무색 또는 백색 결정 분말이며 흑색 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차가운 자극성 짠맛과 산화성이 있다.

-물에는 잘 녹으나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는다.

-단독으로는 분해하지 않지만, 가열하면 용융분해하여 산소와 아질산칼륨을 생성한다.

-숯가루, 황가루, 황린을 혼합하면 흑색화약이 되며 가열, 충격, 마찰에 주의한다.

 

3)질산암모늄

-조해성이 있고 물, 알코올, 알칼리에 잘 녹는다.

-물을 흡수하면 흡열반응을 한다.

-강력한 산화제이기 때문에 혼합화약의 재료로 쓰인다.

 

4)질산은

-사진감광제, 사진제판, 보온병 제조 등에서 사용된다.

-요오드에틸시안은과 혼합되면 폭발성 물질이 생성되어 폭발의 위험이 있다.

 

 

 

(7) 요오드산염류(지정수량 300kg) -요오드산칼륨, 요오드산칼슘

요오드산의 수소이온이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로 대부분 결정성 고체이다.

 

1)요오드산칼륨

-가연물과 혼합하여 가열하면 폭발한다.

-염소산칼륨보다는 위험성이 작다.

-광택이 나는 무색의 결정서 분말이다.

-물, 진한 황산에는 녹고, 알코올에는 녹지 않는다.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소를 방출하며 가연물과 혼합하면 폭발위험이 있다.

 

2)요오드산칼슘

-백색, 조해성 결정, 물에 잘 녹는다.

 

 

 

(8)과망간산염류(지정수량1,000kg) - 과망간산칼륨, 과망간산나트륨, 과망간산칼슘

과망간산의 수소가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을 말한다.

 

1) 과망간간칼륨

-상온에서 안정하며, 흑자색 또는 적자색 사방정계 결정

-알코올, 에테르, 글리세린 등 유기물과 접촉을 금한다.

-가열하면 240℃에서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시키고 아세톤, 메틸알코올, 빙초산에 잘 녹는다.

-강한 살균력을 갖고 있다.

-묽은 황산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시킨다.

-진한 황산과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여러가지 분해생성물을 만든다.

-목탄, 황 등의 환원성 물질과 접촉시 충격에 의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2)과망간나트륨

-적자색 결정

-조해성이 강하고 물에 매우 잘 녹는다

 

3)과망간산칼슘

-자색결정

-비중2.4 물에 잘 녹는다.

 

 

 

(9) 중크롬산염류(지정수량 1,000kg)- 중크롬산칼륨, 중크롬산나트륨,중크롬암모늄

중크롬산의 수소가 떨어져 나가고 금속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로 대부분 황적색의 결정이며 대부분 물에 잘 녹는다.

 

1)중크롬산칼륨

-등적색 판상결정

-흡습성, 수용성, 알코올에는 불용이다.

-산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시킨다.

 

2)중크롬산나트륨

-오렌지색의 단사정계 결정

-수용성, 아로올에는 녹지 않는다.

 

3)중크롬산암모늄

-오렌지색 단사정계 결정

-분해온도 225℃, 비중 2.15

-물, 알코올에 잘 녹는다.

-가열하면 약 225℃에서 분해하여 질소를 발생

댓글